안녕하세요 열정햄찌입니다. 지난 주 AWS Compute 서비스에 대해 정리했었었는데요, 그에 이어 Storage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이 부분은 AWS Practitioner 시험 뿐 아니라 AWS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시험에서도 많이 출제되니 꼭 암기하고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AWS Compute 서비스 >
[취준일기] AWS Compute 서비스 정리 | AWS 자격증 준비하는 법 | EC2, ECR, ECS, Elastic Beanstalk, Lambda, Lightsa
안녕하세요 햄찌입니다. 기나긴 취준 끝에 (3개월 준비 + 1년 인턴) 드디어 원하던 회사에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그에 앞서 제게 정말 큰 도움이 되었던 AWS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시험에서 유용
berrynewton.tistory.com
<시험을 대비하시며 서비스 특징이 헷갈리시는 분들 혹은 AWS storage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위해 검색하신 분들의 경우에는 꼭 공식 홈페이지의 White Pape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Amazon EBS (Amazon Elastic Block Store) 의 경우 EC2 인스턴스를 위해 쓸 수 있는 거대 저장 용량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요금은 사용하는 용량 (GB), snapthot (GB), data transfer, IOPS 4가지를 기준으로 책정됩니다. 각 Amazon EBS는 자동적으로 가용영역안에서 복제되어 내용물이 고장나서 저장물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막고 고가용성과 지속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EBS는 RDS의 Primary Storage Service입니다. Amazon EBS는 지속 가능하고 (ever-changind DB on EC2) 블럭 레벨의 저장 용량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EC2인스턴스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돕습니다. 각 볼륨은 다른 스토리지 옵션들에 비교했을 때, consistent and low-latency performance를 제공하여 데이터를 많이 읽고 쓸 때 좋습니다. **EBS 볼륨을 주된 저장공간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자주 업데이트하기 용이하며 이를 통해 하나의 인스턴스를 위한 시스템 드라이브 혹은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저장소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Amazon EBS Snapshot는 EBS 볼륨의 백업(복사본)입니다.
-> 시험 포인트: 1) EC2 instance와 함께 사용 가능 2) 요금 책정 (용량/스냅샷/데이터 이동/IOPS) 3) Persistent 4) Snapshot 기능
2. Amazon EFS (Amazon Elastic File System) 은 간단하고 용량 조절이 자유로운 ELASTIC 파일 저장소로서 아마존 클라우드와 온프렘 파일을 모두 저장할 수 있게 합니다.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파일 시스템을 쉽고 빠르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EFS는 탄력적으로 필요에 따라 용량을 키우도록 구축되어있다보니 어플리케이션이 멈추지 않고 곧장 커지거나 줄어들면서 파일을 더하고 삭제할 수 있다. 또한, EC2인스턴스에 수천개의 병렬 접근이 가능하게 되어있어 다량의 입출력, IOPS를 파일시스템이 커지는것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역 서비스이다보니 고가용성, 내구도를 좋게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용영역에 복제되어있다. (+한 지역Region안에 여러 가용역역AZ가 있음) EC2에 일단 올려두면 EFS는 표준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접근 semantic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금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도구를 EFS에 통합시키기가 쉽다. 여러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시에 EFS에 접근할 수 있으며 공통된 데이터 소스를 (2개 이상의 EC2 인스턴스에 띄워둔) 다양한 워크로드와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따.
-> 시험 포인트: 자동으로 크기를 조정하는 서비스 (Auto Scaling) Lambda, S3, EFS / 병렬접근 Multiple Node 구성
3. Amazon S3 (Simple Storage Service) 는 내용이 워낙 방대해서 단독 포스팅하여 연결해두겠습니다.
시험 포인트 : "Object Based Storage" / 요금 책정 - Storage Class, data 저장한 용량, Data Transfer Out, 요청 횟수 / back up 자동
EFS, EBS와 비교하여 ~~한 상황일 때 어떤 스토리지 사용할 것인가? 하고 물어봄. 쉬운 문제는 선지중에 몇개가 애초에 스토리지 서비스가 아님. 이름만 그냥 띄워놓기 때문에 지우고 각 키워드 (위에 하이라이트 된 것)으로 소거해서 고르면 됨!
4. Amazon S3 Glacier은 안전하고 내구도가 좋으며 가격이 싼 스토리지 클래스로서 데이터 아카이빙할 때 사용된다. 온프렘 사용하는 것보다 매우 싸다! 대신 검색하는 데 12시간정도 걸림.
5. AWS Storage Gateway 는 온프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저장소에 연결함으로서 데이터를 보호하여 온프렘 IT & Cloud 환경을 통합적으로 구축하게 한다. 괜찮은 가격으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특징: File-based, volume-based, and tape-based storage solutions 3가지를 제공합니다.
***
스토리지 서비스의 경우 AWS Practitioner 시험 외에도 AWS Solution Architect - Associate 까지 많이 나오고 나중에 Disaster Recovery 모델과 High Availibility에 연관되어 여러 선지에 등장하기 때문에 S3 storage class까지 꼭꼭 빠삭하게 알고 시험에 들어가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모두모두 시험 공부 열심히 하세요!!
<관련 글>
2020/08/25 - [성균관대학교 SKKU] - [취준일기] IT자격증 | AWS 공인 솔루션스 아키텍트 - 어소시에이트
2020/09/19 - [성균관대학교 SKKU] - [취준일기] IT 자격증 | AWS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합격후기 + 꿀팁
2020/04/04 - [분류 전체보기] - [취준일기] AWS Practitioner 자격증 : 5일 공부법 + 합격 후기
'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무탐색] Lead Generation 에 대한 이해 (3) | DGR, SDR, BDR 등 (3) | 2022.09.16 |
---|---|
[직무탐색] Lead Generation 에 대한 이해 (2) | DGR, SDR, BDR 등 (0) | 2022.09.12 |
[직무탐색] Lead Generation 에 대한 이해 (1) | DGR, SDR, BDR 등 (2) | 2022.09.02 |
[성균관대] 취업준비생의 통계적역량 키워드 활용법 | 취준일기 (1) | 2021.05.26 |
[취준일기] AWS Practitioner 자격증 : 5일 공부법 + 합격 후기 (3) | 2020.04.04 |
댓글